Вы находитесь на странице: 1из 44

한국수학교육학회 제33회 전국수학교육연구대회 (2004. 8. 13.

청주교육대)

니들이 선형 대수를 알어?

최 영 한

한국과학기술원 자연과학부
대전 유성구 구성동 373-1
Email: yhchoe@cais.kaist.ac.kr
니들이 선형 대수를 알어? 제33회 전국수학교육연구대회 (2004. 8. 13. 청주교육대)

0. 서론

1. J.-L. Dorier (2002):

“Teaching Linear Algebra at University.”

2. “수학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선형 대수”

3. “선형 방정식계(系)와 Elementary Matrix”

2
니들이 선형 대수를 알어? 제33회 전국수학교육연구대회 (2004. 8. 13. 청주교육대)

제 1 부 Dorier의 강연 내용
ICM 2002 (中國 北京)
Section 18: Mathematics Education and
Popularization of Mathematics의 초청 강연

J.-L. Dorier (2002):


“Teaching Linear Algebra at University.”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gress of
Mathematicians(Beijing: August 20–28, 2002),
Vol. III: Invited Lectures (pp. 875–884).
Beijing: Higher Education Press.

3
니들이 선형 대수를 알어? 제33회 전국수학교육연구대회 (2004. 8. 13. 청주교육대)

Dorier (2002)의 강연 내용은 Dorier(2000)가 편집한 책(Artigue, Chartier


& Dorier 2000; Dorier, Robert, Robinet & Rogalski 2000; Harel 2000;
Hillel 2000; Rogalski 2000)에서 발췌한 것으로써 최근의 연구 동향을 소개하
였다.

Dorier (1995, 2002)는 선형 대수에 관련한 초창기의 역사에 대한 인식론


적(epistemological) 분석은 학생들이 선형 대수를 어려워 하는 근원적인 이유
를 찾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학습 활동 계획”(design of activity)을 세우는데
어떤 영감(inspiration)을 찾을 수 있다고 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많은 연구가
있었다. 그러나 이들의 연구는 거의 대부분 서양의 수학사에서만 국한되었다.

또 Dorier (2002)가 말하는 “선형 대수에 관련한 초창기의 역사”라는 것도 서


양에서 19세기 중반부터 1930년대까지 나타난 선형 대수에 관련한 개념 내지는
지식 형성의 과정을 일컫는다.

See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18(2), 98–108.

4
니들이 선형 대수를 알어?
1 2 3 | 26
제33회 전국수학교육연구대회 (2004. 8. 13. 청주교육대)

동양의 역사에서 찾아 보자.


선형 방정식계의 표현으로
쓰는 “덧붙인 행렬”과 선형
방정식계의 풀이법으로 쓰는
“가우스·조르단 소거법”(消
去法)은 이미 중국의 한(漢:
BC 202–AD 220) 나라 때
구장산술(九章算術)의 “쓸어내기 방법”
쓰여졌을 것으로 추정되는
구장산술(九章算術)에 나와
있다(다무라 사부로 1989,
2000; 이화영 1996).
여기서 중요한 것은 덧붙인 행렬을
고안한 것이다.

5
5제33회
2 전국수학교육연구대회
x 10
니들이 선형 대수를 알어? = (2004. 8. 13. 청주교육대)

2 10 y 8

구장산술(九章算術)의 “제 8장 방정”에 있는 선형 방정식계의 문제

6
니들이 선형 대수를 알어? 제33회 전국수학교육연구대회 (2004. 8. 13. 청주교육대)

선형 대수는 이렇게 오래된 수학의 분야이지만 한꺼번에 많은 변수를 다루고 이


변수들에 작용하는 변화를 한꺼번에 표현하는 방법(행렬)이 서양에 전달되지 않았
고 그래서 간단한 문제라도 계산을 할 때 많은 혼란을 일으켜서 널리 이용되지 못
했다.

아이러니하게도 현재 우리가 선형 변환의 표현으로 널리 쓰이는 행렬도 19세기


중엽에 수의 체계의 확장(복소수, 사원수(quaternion)의 표현)으로 고안 되었
다. 이 때문에 벡터 공간을 이론적으로 다루기 시작한 것은 19세기 후반이였고
1930년대에 이르러 선형 대수의 공리화가 이루어졌다.

그러던 것이 20세기 중반부터 획기적으로 발달한 컴퓨터에 힘입어 최근에 그 중


요성이 다시 논의되었다.

[참고] n × n 정사각 행렬에 값(행렬식)을 부여하는 아이디어는 1683년에 일본


수학자 Seki Takakazu가 생각하였다(Lay 2003).

7
니들이 선형 대수를 알어? 제33회 전국수학교육연구대회 (2004. 8. 13. 청주교육대)

급기야 1973년에 Wassily Leontief(당시 하바


드 교수)가 선형 대수를 응용한 이론으로 노벨 경
제학상을 받자 중등 학교나 대학 기초 과정의 수
학교육에서 선형 대수를 가르치는 것에 관련한 연
구가 활기를 띄기 시작하였다.

Leontief가 1973년에 노벨 경제학상을 받게 된 계기는


1949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1949년 그는 미국의 경제 Wassily Leontief
전반에 관한 데이터를 500개의 미지수와 500개의 방정식
으로 된 선형 방정식계(系)로 나타내었으나 당시 이 정도의
선형 방정식계를 다룰 수 있는 컴퓨터가 없었으므로 이를 다
시 42개의 미지수와 42개의 방정식으로 된 방정식계로 정
제하여 이를 모두 펀치카드로 만들고, 하바드 대학교의 “마
크 2”라는 컴퓨터에 입력하였다. 컴퓨터는 56시간의 긴 계
산 후에 마침내 그 풀이를 내어 놓았다.

8
니들이 선형 대수를 알어? 제33회 전국수학교육연구대회 (2004. 8. 13. 청주교육대)

Lay (2003): Linear Algebra and its Applications. Boston: Addison-


Wesley

p. 2
Scientists and engineers now work on problems far more complex than
ever dreamed possible a few decades ago. Today, linear algebra has
more potential value for students in many scientific and business fields
than any other undergraduate mathematics subjects!

9
니들이 선형 대수를 알어? 제33회 전국수학교육연구대회 (2004. 8. 13. 청주교육대)

제 2 부

교육부 고시 제 1997-15호:
“수학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선형 대수”
교육부 고시 제 1997-15호로 고시(告示)된 수학과 교육과정(이른바
“제7차 개정”)에 나타난 선형 대수는 미미하다.

일본(1992년) 한국(1997년)

전체 수학 교과의 감소 내용 36%↓ 25%↓

시간 20%↓ 25%↓

10
니들이 선형 대수를 알어? 제33회 전국수학교육연구대회 (2004. 8. 13. 청주교육대)

1. 수학 (1학년∼10학년: 국민 공통 기본 교육 기간)
————————————————————————
2. 실용 수학 (단계 10의 도달 여부에 관계 없이 선택할 수 있음)

3. 수학 I (단계 10의 이수 후)

4. 수학 II (수학 I의 이수 후)

5. 미분과 적분 (수학 II의 이수 후)

6. 확률과 통계 (단계 10의 도달 여부에 관계 없이 선택할 수 있음)

7. 이산 수학 (단계 10의 도달 여부에 관계 없이 선택할 수 있음)


————————————————————————
8. 고급 수학 (과학고: 미분과 적분의 이수 후)

11
니들이 선형 대수를 알어? 제33회 전국수학교육연구대회 (2004. 8. 13. 청주교육대)

1. 수학 (1학년∼10학년: 국민 공통 기본 교육 기간)

h1-가 단계∼6-나 단계i


특별히 선형 대수와 관련 있는 내용을 차지 못했는 데

ICME-10 (2004: 코펜하겐) 포스터 세션에서

J. Grow-Maienza & S. Beal:


Seeing Korean Mathematics Through American
Eyes ⇒ Next
을 본 후 생각이 바뀌었다. 포스터에 보면 “한국 수학은 도처에 수직선”이란 구

절이 있었다. 그러나 애석하게도 여기에 이야기한 교과서는 1992년판이었다.

12
니들이 선형 대수를 알어? 제33회 전국수학교육연구대회 (2004. 8. 13. 청주교육대)

Grow-Maienza와 Beal의 포스터

13
니들이 선형 대수를 알어? 제33회 전국수학교육연구대회 (2004. 8. 13. 청주교육대)

http://eisenhowermathematics.truman.edu/

Report on Korean Mathematics to NSF

J. Grow-Maienza: Conceptualization of NCTM Recommended


Constructs in Korean Textbook Materials

14
니들이 선형 대수를 알어? 제33회 전국수학교육연구대회 (2004. 8. 13. 청주교육대)

h7-가 단계i

(나) 문자와 식

h학습 지도상의 유의점i을 먼저 살펴보자.


① 다양한 문제 상황를 통해 문자 사용의 필요성을 알게 한다.
② 일차식의 계산은 하나의 문자에 관한 일차식만 다루고, 이차방정식을 푸는 데
도움이 되는 정도로 다룬다.
[참고] 여기서 일차식이란 문자(변수) x에 대한 함수 x 7→ ax + b를 뜻하므로 선
형 변환은 아니다. 어파인(affine) 변환이다. 그러나 집합 P1 = span{1, x}는 벡
터 공간(선형 공간)이다.

1) 문자의 사용과 식의 계산
① 문자를 사용해서 식을 간결하게 나타낼 수 있다.
② 식의 값을 구할 수 있다.
③ 일차식의 계산을 할 수 있다.

15
니들이 선형 대수를 알어? 제33회 전국수학교육연구대회 (2004. 8. 13. 청주교육대)

h7-가 단계i 계속

2) 일차방정식
① 일차방정식과 그 해를 이해한다.
② 등식의 성질을 이해한다.
③ 일차방정식을 풀 수 있다.

[참고] 일차방정식을 가르치기 전에 선형(구조)을 먼저 가르치는 것이 좋을 듯 하


다. 가령 화씨 온도를 섭씨 온도로 고치는 것은 선형이 아니다. 그러나 화씨로 온
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것과 섭씨로 온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것 사이의 관계는 선
형이다. 이 개념은 나중에 미분적분을 배울 때도 크게 작용한다. 변수 x와 dx는
선형 독립이며, 변수 dx와 dy 사이의 관계는 선형이다. 이 개념은 다변수 함수를
배울 때는 더욱 크게 작용한다.

3) 일차방정식의 활용
① 일차방정식을 활용하여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h용어와 기호i 대입, 식의 값, 다항식, 항, 단항식, 상수항, 계수, 차수, 일차식, 동
류항, 등식, 방정식, 해, 근, 이항, 일차방정식, 미지수, 농도(?)

16
니들이 선형 대수를 알어? 제33회 전국수학교육연구대회 (2004. 8. 13. 청주교육대)

h7-가 단계i 계속

[심화과정]

① 일차방정식을 활용하여 실생활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다) 규칙성과 함수

2) 함수의 활용
① 함수를 실생활 문제에 활용할 수 있다.
h용어와 기호i 좌표, 순서쌍, x좌표, y좌표, 원점, 좌표축, x축, y축, 좌표평면

17
니들이 선형 대수를 알어? 제33회 전국수학교육연구대회 (2004. 8. 13. 청주교육대)

h8-가 단계i

(다) 문자와 식

2). 미지수가 2개인 연립일차방정식


① 미지수가 2 개인 일차방정식을 이해한다.
② 미지수가 2 개인 연립일차방정식과 그 해를 이해한다.
③ 미지수가 2 개인 연립일차방정식을 풀 수 있다.

[참고] 이제 연립 방정식이란 말은 역사의 뒤안길에 묻어 두는 것이 좋다. 방정식


계 또는 방정식 시스템이라는 말이 좋을 듯 하다.

3) 연립일차방정식의 활용
① 미지수가 2 개인 연립일차방정식을 활용할 수 있다.

18
니들이 선형 대수를 알어? 제33회 전국수학교육연구대회 (2004. 8. 13. 청주교육대)

h8-가 단계i(계속)

(라) 규칙성과 함수

1) 일차함수와 그 그래프
① 일차함수의 뜻을 안다.
② 일차함수의 그래프를 그릴 수 있다.
③ 일차함수의 그래프의 성질을 이해한다.

2) 일차함수의 활용
① 일차함수를 나타내는 식과 일차방정식의 관계를 이해한다.
② 두 일차함수의 그래프를 통하여 연립일차방정식의 해를 이해한다.
③ 일차함수를 활용하여 여러 가지 문제를 풀 수 있다.

h용어와 기호i 일차함수, 기울기, x절편, y절편, 평행이동

19
니들이 선형 대수를 알어? 제33회 전국수학교육연구대회 (2004. 8. 13. 청주교육대)

h10-나 단계i

(가) 도 형

1) 평면좌표
① 두 점 사이의 거리를 구할 수 있다.
② 선분의 내분과 외분을 이해하고, 내분점과 외분점의 좌표를 구할 수 있다.

2) 직선의 방정식
① 여러 가지 직선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다.

20
니들이 선형 대수를 알어? 제33회 전국수학교육연구대회 (2004. 8. 13. 청주교육대)

2. 실용 수학 (수학 10 단계의 도달 여부에 관계 없이 선택 가능)

경제 생활 단원에서 이자 계산등의 복잡한 함수 관계는 들어 있으나 선형 대수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은 들어 있지 않다.

3. 수학 I

(1) 대수

(나) 규칙성과 함수

1) 행렬과 그 연산
① 수량을 직사각형 모양으로 나타낼 수 있는 경우를 찾아보고, 행렬의 뜻을 이해
한다.
② 행렬의 덧셈, 뺄셈, 곱셈의 정의를 알고, 그 연산을 할 수 있다.
③ 두 행렬의 곱이 단위행렬이 되는 경우를 찾아보고, 역행렬의 뜻을 안다.
④ 이차(2×2)정사각행렬의 역행렬을 구할 수 있다.

21
니들이 선형 대수를 알어? 제33회 전국수학교육연구대회 (2004. 8. 13. 청주교육대)

2) 연립일차방정식과 행렬
① 미지수가 2 개인 연립일차방정식을 행렬을 이용하여 나타낼 수 있다.
② 역행렬을 이용하여 미지수가 2 개인 연립일차방정식을 풀 수 있다.
h용어와 기호i 행렬, 행, 열, 성분, m × n 행렬, 정사각행렬, 영행렬, 단위행렬, 역
행렬, A−1

h학습 지도상의 유의점i

① 행렬의 연산이 이루어지는 예를 실생활에서 찾아보게 한다.


② 행렬의 곱셈과 수의 곱셈의 차이점을 알아보게 한다.
③ 역행렬은 2 × 2 행렬만 다룬다.

22
니들이 선형 대수를 알어? 제33회 전국수학교육연구대회 (2004. 8. 13. 청주교육대)

4. 수학 II

’수학 II’는 ’수학 I’을 이수한 다음에 더욱 높은 수준의 수학을 학습하기 위하여
선택할 수 있는 과목으로서, 보다 심화된 수학적 지식의 습득과 수학적 사고 방법,
논리적 추론 능력을 키워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하는 능력과 태도를 기르게 하
며, 자연 과학 및 공학 분야의 학숩에 기초가 된다.

(3) 기 하

(나) 공간도형

1) 직선·평면의 위치 관계
① 직선과 직선, 직선과 평면, 평면과 평면의 위치 관계를 이해한다.

2) 평행과 수직
① 직선과 직선, 직선과 평면, 평면과 평면의 평행 관계와 수직 관계를 이해한다.

② 삼수선의 정리를 이해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다.

23
니들이 선형 대수를 알어? 제33회 전국수학교육연구대회 (2004. 8. 13. 청주교육대)

3) 정 사 영
① 정사영의 뜻을 알고, 이를 구할 수 있다.
h용어와 기호i 교선, 삼수선의 정리, 이면각(변, 면, 크기), 정사영
h학습 지도상의 유의점i
① 공간도형의 성질을 관찰과 직관에 의해 이해하도록 한다.
② 공간도형은 공리계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히 다룬다.

(다) 공간좌표

1) 점의 좌표
① 좌표공간에서 점의 좌표를 구할 수 있다.

2) 두 점 사이의 거리
① 좌표공간에서 두 점 사이의 거리를 구할 수 있다.

24
니들이 선형 대수를 알어? 제33회 전국수학교육연구대회 (2004. 8. 13. 청주교육대)

3) 선분의 내분점과 외분점


① 좌표공간에서 선분의 내분점과 외분점의 좌표를 구할 수 있다.

4) 구의 방정식
① 구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다.
h용어와 기호i 좌표공간, 공간좌표, P (x, y, z)
h학습 지도상의 유의점i
① 공간좌표는 평면좌표의 연속된 수준에서 간단히 다룬다.
② 공간좌표의 개념과 성질을 공간도형에 관한 문제 해결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
다.

(라) 벡 터

1) 벡터의 연산
① 벡터의 뜻을 안다.
② 벡터의 덧셈, 뺄셈, 실수배를 할 수 있다.

25
니들이 선형 대수를 알어? 제33회 전국수학교육연구대회 (2004. 8. 13. 청주교육대)

2) 벡터의 내적
① 두 벡터의 내적의 뜻을 알고, 이를 구할 수 있다.

3) 직선과 평면의 방정식


① 좌표공간에서의 직선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다.
② 좌표공간에서의 평면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다.
h용어와 기호i 시점, 종점, 벡터, 벡터의 성분, 단위벡터, 영백터, 실수배, 위치벡
터, 평면벡터, 공간벡터, 벡터의 크기, 내적, 벡터방정식, 방향코사인, 방향벡터,
−→ −
→ −
→ −
→ −

법선벡터, AB, a , | a |, a , b
h학습 지도상의 유의점i
① 벡터를 사용하면 좌표공간에서 직선과 평면의 방정식을 간단히 나타낼 수 있음
을 알게 한다.

공간 도형, 공간 좌표의 기본 개념 및 벡터를 이용한 도형의 관찰

26
니들이 선형 대수를 알어? 제33회 전국수학교육연구대회 (2004. 8. 13. 청주교육대)

5. 미분과 적분

“수학 II”의 다항함수의 미분법 미분법과 적분법을 익힌 다음에 여러 가지 함


수(삼각함수, 지수함수, 로그함수)의 미분과 적분에 대한 심화된 지식을 습득하기
위한 것으로 단원도 해석 하나 밖에 없다.

6. 확률과 통계

“확률과 통계”는 수학 10 단계의 도달 여부에 관계 없이 학생들이


실생활에 필요한 확률과 통계를 학습하기 위한 선택 과목

27
니들이 선형 대수를 알어? 제33회 전국수학교육연구대회 (2004. 8. 13. 청주교육대)

7. 이산 수학 (수학 10 단계의 도달 여부에 관계 없이 선택 가능)

(2) 그 래 프

(라) 그래프의 활용

① 행렬의 뜻을 알고, 행렬의 덧셈, 뺄셈, 곱셈을 할 수 있다.


② 그래프를 행렬로 나타내고, 그 성질을 알 수 있다.
③ 색칠 문제 등의 실생활 문제를 그래프를 이용하여 해결할 수 있다.
h용어와 기호i 그래프, 꼭지점, 변, 곡지점의 차수, 경로, 회로, 수형도,
생성수형도, 오일러회로, 해밀턴회로,

28
니들이 선형 대수를 알어? 제33회 전국수학교육연구대회 (2004. 8. 13. 청주교육대)

8. 고급 수학 (과학고: 미분과 적분의 이수 후)

I. 대 수

3. 벡터

3.1 벡터의 성질
3.2 벡터의 내적과 외적

4. 행렬과 행렬식

4.1 행렬
(선형방정식계를 덧붙인 행렬로 나타내고 기본 행 변형을 시행하여 해를 구하였다.)
4.2 행렬식
4.3 고유값과 행렬의 대각화
4.4 일차변환

29
제 3 부

“선형 방정식계(系)”와 Elementary Matrix

30
니들이 선형 대수를 알어? 제33회 전국수학교육연구대회 (2004. 8. 13. 청주교육대)

n개의 미지수 x1 , x2 , · · · , xn 에 대한 m 개의 선형방정식으로 이루어진 계(系)







a11 x1 + a12 x2 + · · · + a1n xn = b1


a21 x1 + a22 x2 + · · · + a2n xn = b2
... ... ... ... (1)




a x + a x + · · · + a x = b

m1 1 m2 2 mn n m

과 (??)에 대응하는 덧붙인 행렬


 
a11 a12 · · · a1n b1 

h i
a

a22 · · · a2n b2 
A B =  21 , (2)

 ... ... ... ... 


am1 am2 ··· a mn
b
m

을 생각하자.

방정식계 (??)에 다음의 “기본 변형”을 유한 번 시행하여 미지수이 나타나는 회


수를 줄임으로써 간단한 꼴의 선형 방정식계로 고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선형
방정식계의 해를 구하는 방법을 가우스·조르단 소거법이라 한다.

31
니들이 선형 대수를 알어? 제33회 전국수학교육연구대회 (2004. 8. 13. 청주교육대)

선형 방정식계의 기본 변형

(i) 두 방정식의 위치를 서로 바꾸어놓는다.


(ii) 한 방정식을 a배 한다.
(iii) 한 방정식에 다른 방정식의 a배를 더한다.

선형 방정식계 (??)에 위의 “기본 변형”을 시행하는 것은 덧붙인 행렬 (??)에


다음의 기본 행 변형을 시행하는 것과 같다.
E[i행↔j행] : 주어진 행렬에서 i행과 j행을 바꾸어 놓는다.
E[i행(a)] : 주어진 행렬에서 i행에 a를 곱한다.
E[i행"j행(a)] : 주어진 행렬에서 j행에 a를 곱하여 i행에 더한다.

선형 방정식계의 해를 구할 때, 먼저 주어진 선형 방정식계의 덧붙인 행렬에 “기


본 행 변형”을 유한 번 시행하여 “기약 행사다리꼴” 행렬로 고치고 이 행렬에 대
응하는 선형 방정식계를 푸는 것과 같다. 그래서 선형 방정식계의 기본 변형도 구
체화하여 E[i행↔j행], E[i행(a)], E[i행"j행(a)] 등으로 표현하는 것이 좋다.
즉, 같은 표시를 선형 방정식계와 기본 행 변형 행렬에 모두 쓰는 것도 좋다.

32
니들이 선형 대수를 알어? 제33회 전국수학교육연구대회 (2004. 8. 13. 청주교육대)

보기 1. 선형 방정식계에 변형 (i)∼(iii)을 써서 해를 구하는 과정을


살펴보자(교육부 1993, pp. 22–23).

 " #
3x − 7x + 2x = 4

3 −7 2 4

1 2 3


2 −4 1 3

2x − 4x + x
3 = 1

1 2
 " #
 x − 3x + x = 3

1 −3 1 3

1 2 3

(iii) E[1행"2행(−1)]
−−−→ 2x1 − 4x2 + x3 = → 2 −4 1 1

1 −
−−−−−−−−−−−


 " #
 x − 3x + x = 3
1 −3 1 3

1 2 3

(iii) E[2행"1행(−2)]
−−−→ 2x1 → 0 2 −1 −5

− x3 = −5 −
−−−−−−−−−−−


 " #
x − 3x + x = 3 1 −3 1 3

1 2 3

(ii) 1x = −5
E[2행( 1 )] 1 − 5
−−−→  x2 − 2
0 1 −2
3 2
−−−−−−2−→  2
1
 9
 x −21x = 9 1 0 − 2 − 2
1 3 2

(iii) 1 5
E[1행"2행(3)]  
−−−→  x2 − 2 x3 = − 2

−−−−−−−−−−−−→ 0 1 −1 −5

2 2

33
니들이 선형 대수를 알어? 제33회 전국수학교육연구대회 (2004. 8. 13. 청주교육대)

여기서 E[1행"2행(−1)], E[2행"1행(−2)], E[2행( 1 )], E[1행"2행(3)]는


2
" # " #
1 −1 1 0
E[1행"2행(−1)] = , E[2행"1행(−2)] =
0 1 −2 1
" # " #
1 0 1 3
E[2행( 1 )] = 1 , E[1행"2행(3)] =
2 1 2
0 1

을 바로 위의 표현에 나타난 행렬의 왼쪽에 곱하는 것과 같다. 즉,


" # " #
3 −7 2 4
1 −3 1 3

E[1행"2행(−1)] =
2 −4 1 3 2 −4 1 1

" # " #
1 −3 1 3
1 −3 1 3

E[2행"1행(−2)] =
2 −4 1 1 0 2 −1 −5

" # " #
1 −3 1 3
1 −3 1 3

E[2행( 1 )] =
1 −1
5
0 2 −1 −5 0 2 −2

2

1 9
 
0 −2 −2
" #
1 −3 1 3 1
E[1행"2행(3)] 1 5 =  
0 1 −2 −2 0 1 5
1 −2 −2

34
니들이 선형 대수를 알어? 제33회 전국수학교육연구대회 (2004. 8. 13. 청주교육대)

이제 방정식계 (??)에서 x1 , x2 , x3 는

 x1 = − 9

2 + 1x
2 3
(3)
x = − 5 + 1 x

2 2 2 3
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x3 이 어떤 실수이더라도 (??)에 의하여 결정되는
x1 , x2 , x3 의 값은 방정식계 (??)의 해이다.

우리는 해를 찾기에 급급하여 아주 중요한 개념을 학생들에게 가르칠 기회를 놓치


고 있다는 것이다.

여기서 중요한 개념이란 “기본 변형”과 “기본 행 변형”은 모두 간단한 정사각 행


렬로 나타 낼 수 있다는 것이다.

[참고] 해집합 (??)을 벡터식으로 나타내는 습관을 갖는 것이 좋다.


9 1
   
−2
 
x1 2
5 1 x .
 
x2  = −  + 
   
2  2 3
x3 0 1
그리고 해집합 (??)은 R3의 부분공간이 아님을 알려 주어야 한다.

35
니들이 선형 대수를 알어? 제33회 전국수학교육연구대회 (2004. 8. 13. 청주교육대)

 
2 1 1
보기 2. 행렬 A =  4 −6 0의 역행렬 A−1를 구하라.
 
−2 7 2

[풀이]
 
h i 2 1 1 1 0 0
A I =  4 −6 0 0 1 0
 
−2

7 2 0 0 1
 
2 1 1 1 0 0
E1 = E[2행"1행(−1)]  0 −8 −2 −2 1 0
 
−−−−−−−−−−−−−−−−→ −2 7

2 0 0 1
 
2 1 1 1 0 0
E2 = E[3행"1행(1)]  0 −8 −2 −2 1 0
 
−−−−−−−−−−−−−−−→ 0 8

3 1 0 1
 
2 1 1 1 0 0
E3 = E[3행"2행(1)]  0 −8 −2 −2 1 0
 
−−−−−−−−−−−−−−−→ 0 0 1 −1

1 1

36
니들이 선형 대수를 알어? 제33회 전국수학교육연구대회 (2004. 8. 13. 청주교육대)

 
2 1 1 1 0 0
1 1 1
−8
E4 = E[2행(− 1 )]  0 1 0

4 4 
−−−−−−−−−−−−8−→ 0 0 1 −1 1 1
3 3 1
 
2 0 4 4 8 0
1 1 −1
 
E5 = E[1행"2행(−1)] 
 0 1 0
−−−−−−−−−−−−−−−−→ 4 4 8 
0 0 1 −1 1 1

0 3 5 3
 
2 0 2 −8 −4

E6 = E[1행"행(− 3 )]  1 1 1 1

 0 1 4 4 −8 −4
4
−−−−−−−−−−−−−−−→ 0 0 1 −1 1 1

0 3 5 3
 
2 0 2 −8 −4

E7 = E[2행"3행(− 1 )]  1 1 3 1

 0 1 4 2 −8 −4
4
−−−−−−−−−−−−−−−−→ 0 0 1 −1 1 1
0 3 5 3
 
1 0 − 16 −8
4 h i
1 −3 −1
 
E8 = E[1행( 1 )] 
 0 1 0 2 = I ~x1 ~
x2 ~
x3

2 8 4

−−−−−−−−−−−
→ 0 0 1 −1

1 1

37
니들이 선형 대수를 알어? 제33회 전국수학교육연구대회 (2004. 8. 13. 청주교육대)

결국 세 선형 방정식계
       
2 1 1 1 2 1 1 0
 4 −6 0 ~x1 =  0 ,  4 −6 0 ~x2 =  1 ,
       
−2 7 2 0 −2 7 2 0
   
2 1 1 0
 4 −6 0 ~x3 =  0
   
−2 7 2 1
를 한꺼번에 푼 것이다. 따라서,

E8 E7 E6 E5 E4 E3 E2 E1 A = I, E8 E7 E6 E5 E4 E3 E2 E1 I = A−1
 
3 5
− 16 3
−8
4
1 −3 1
 
= −4
 2 8 
−1 1 1
의 관계가 있다.

38
니들이 선형 대수를 알어? 제33회 전국수학교육연구대회 (2004. 8. 13. 청주교육대)

보기 3. 다음의 행렬을 “행렬의 기본 행 변형”만을 사용하여 단위 행렬로


바꾸어라.
 
1 −1 2 4
2 −1 2 4
A=
 
0 0 1 2

1 −1 2 5

풀이
   
1 −1 2 4 1 −1 2 4
2 −1 2 4 0 1 −2 −4
E[2행"1행(−2)] 
   
0 0 1 2 → 0 0 1 2
  

−−−−−−−−−−−
1 −1 2 5 1 −1 2 5
   
1 −1 2 4 1 0 0 0
0 1 −2 −4 0 1 −2 −4
E[4행"1행(−1)]  E[1행"2행(1)] 
   
→ 0 0 1 2 −−−−−−−−−−→ 0 0 1 2
 

−−−−−−−−−−−
0 0 0 1 0 0 0 1

39
니들이 선형 대수를 알어? 제33회 전국수학교육연구대회 (2004. 8. 13. 청주교육대)

   
1 0 0 0 1 0 0 0
0 1 0 0 0 1 0 0
E[2행"3행(2)]  E[3행"4행(−2)] 
   
−−−−−−−−−−→ 0 0 1 2 → 0 0 1 0
 

−−−−−−−−−−−
0 0 0 1 0 0 0 1

이 변형을 모두 합성하면 다음과 같다.

E[3행"4행(−2)]E[2행"3행(2)]E[1행"2행(1)]E[4행"2행(−1)]E[2행"1행(−2)]A
    
−1 1 0 0 1 −1 2 4 1 0 0 0
−2 1 2  2 −1 2 4
0   0 1 0 0
= =
  
 2 0 1 −2 0 0 1 2 0 0 1 0
 

−1 1 0 1 1 −1 2 5 0 0 0 1
따라서, E[3행"4행(−2)]E[2행"3행(2)]E[1행"2행(1)]E[4행"1행(−1)]E[2행"1행(−2)]는
A의 역행렬임을 알 수 있다.

40
니들이 선형 대수를 알어? 제33회 전국수학교육연구대회 (2004. 8. 13. 청주교육대)

보기 4. 다음 선형 방정식계의 일반해를 구하라.



 x1 − 3x2 − 2x3 =1


2x1 − 6x2 − 3x3 + 4x4 =4
3x1 − 9x2 − 4x3 + 8x4


=7

41
니들이 선형 대수를 알어? 제33회 전국수학교육연구대회 (2004. 8. 13. 청주교육대)

풀이: 이 선형 방정식계의 덧붙인 행렬의 기약행사다리꼴을 구한다.


 
1 −3 −2 0 1
2 −6 −3 4 4
 
−9 −4

3 8 7
 
1 −3 −2 0 1
E[2+1(−2)] 0 0 1 4 2
 
−−−−−−−−−−−−→ 3 −9 −4

8 4
 
1 −3 −2 0 1
E[3+1(−3)] 0 0 1 4 2
 
−−−−−−−−−−−−→ 0 0 2

8 4
 
1 −3 −2 0 1
E[3+2(−2)] 0 0 1 4 2
 
−−−−−−−−−−−−→ 0 0 0

0 0
 
1 −3 0 8 5
E[1+2(2)] 0 0 1 4 2
 
−−−−−−−−−−−→ 0 0 0

0 0

42
니들이 선형 대수를 알어? 제33회 전국수학교육연구대회 (2004. 8. 13. 청주교육대)

7. 결 론

단순히 수학의 가르침에 관한 연구가 선형 대수를 가르치고 배우는 데 일어나는


모든 어려움을 기적적으로 해결할 수는 없다(Dorier 2002, p. 882). 그 동안
선형 대수를 가르칠 때 일어나는 여러가지 문제, 특히 학생들이 겪는 어려움의 진
단법, 인식론적인 분석 등의 연구가 이루어졌고 이에 따른 실험적 교수법도 많이
소개 되었다. 이런 연구들의 결과나 교수법은 또 다른 의문, 문제점 그리고 가르
침의 어려움을 찾아 내었다. 그러나 이러한 것은 결코 연구가 잘못되었다거나 교
수법이 잘못되었다고 해석하여서는 안된다. 모든 상황에 유효한 치료법이란 있지
않을 것이며 수학을 가르치고 배우는 방법을 향상시키는 것은 이러한 치료법만을
찾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연구들은 교사들에게도 교수법을 풍부하게 하고 수학
을 배우고 가르치는 것은 단순한 인지적 과정만을 포함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깨우치게 한다.

43
니들이 선형 대수를 알어? 제33회 전국수학교육연구대회 (2004. 8. 13. 청주교육대)

박한식 (2001, 464–465)∗을 빌려 이 글을 마칠가 한다.

앞으로 수학과 교육과정을 만들 때나 교과서를 만들 때는 다음과 같은 점을


충분히 알고 이러한 일을 할 것을 제언하고 싶다.

1. 수학교육에 대한 철학이 있어야 한다.


2. 교직 수학에 대한 충분한 지식이 있어야 한다.
3. 학생들의 수학 개념에 대한 인지도를 알고 있어야 한다.
4. 현장 교사들의 수학에 대한 지식을 감안하여야 한다.
5. 실생활에 이용되는 수학의 지식을 알고 있어야 한다.
6. 새로운 교육 내용이나 학습 방법을 도입할 때는 (형식적이 아닌) 충분한
현장 실험이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
7. 교수·학습 방법은 교육 내용에 상관없이 일률적일 수는 없다.

∗ 박한식 (2001): 수학 교육의 회고와 제7차 교육과정 및 교직 수학 —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 교과서

검정 심의와 관련하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11, 451–468.

44

Вам также может понравитьс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