Вы находитесь на странице: 1из 82

저작자표시 2.

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l 이차적 저작물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l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공학석사학위논문

수용가 부하 관리 기능을 갖는 UPS 설계

Design of UPS with Customer Load Management Function

충 북 대 학 교 대 학 원

전기· 전자· 정보· 컴퓨터학부 전기공학전공

고 재 훈

2019 년 2 월
공학석사학위논문

수용가 부하 관리 기능을 갖는 UPS 설계

Design of UPS with Customer Load Management Function

지 도 교 수 김 재 언

전기· 전자· 정보· 컴퓨터학부 전기공학전공

고 재 훈

이 논문을 공학석사학위논문으로 제출함.

2019 년 2 월
본 논문을 고재훈의 공학석사학위 논문으로 인정함.

심 사 위 원 장

심 사 위 원

심 사 위 원

충 북 대 학 교 대 학 원

2019 년 2월
차 례

Abstract ·················································································································· iii


List of tables ········································································································· v
List of figures ······································································································ vi

Ⅰ. 서 론 ··············································································································· 1

1.1 연구 배경 ······································································································ 1

1.2 연구 목적 ······································································································ 4
1.3 논문 구성 ······································································································ 5

Ⅱ. BESS, UPS 및 하이브리드 BESS-UPS 시스템 ······························· 6


2.1 BESS ············································································································· 6

2.2 UPS ················································································································ 8

2.2.1 오프-라인(Off-line) UPS ····································································· 9


2.2.2 라인-인터랙티브(Line-interactive) UPS ········································ 10
2.2.3 온-라인(On-line) UPS ········································································ 11

2.3 하이브리드 BESS-UPS 시스템 ····························································· 14

Ⅲ. 제안하는 수용가 부하 관리 기능을 갖는 UPS ································· 19


3.1 수용가 부하 관리 기능을 갖는 UPS 구조 ·········································· 20

3.2 수용가 부하 관리 기능을 갖는 UPS 제어 알고리즘 ························ 21

- i -
3.2.1 최대부하 시간대 ··················································································· 23
3.2.2 경부하 시간대 ······················································································· 24
3.2.3 기타 시간대 ··························································································· 25

3.2.4 정전 시 ··································································································· 26
3.3 양방향 DC/DC 컨버터 ············································································· 27

Ⅳ. 시뮬레이션을 통한 검증 및 고찰 ·························································· 29
4.1 전체 시스템 구성 ······················································································ 29
4.2 PSCAD/EMTDC를 이용한 시스템 및 제어기 구성 ························· 31

4.3 시뮬레이션 조건 및 시나리오 ································································ 33

4.4 시뮬레이션 결과 분석 ·············································································· 40

Ⅴ. 결 론 ··············································································································· 68

참고문헌 ················································································································· 69

- ii -
Design of UPS with Customer Load Management Function

Ko, Jae Hun

School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Computer Science,


Graduate School of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eongju,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Kim, Jae Eon

Abstract

Traditional Uninterruptible Power Supplies (UPS) only provide stable

power to critical loads in emergency situations, while Energy Storage


Systems (ESS) perform functions such as generator output stabilization,

frequency control, peak shaving, and load leveling. As the global ESS

- iii -
market expands, various ESS supply policies are being implemented in a
number of countries. Accordingly,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 hybrid
BESS-UPS system combining the advantages of UPS and BESS are

underway in order to ensure critical load stability in case of emergency.


For such a situation, we propose the development of a system with a

customer load management function by simply adding a converter and


battery pack to a widely used conventional UPS. The proposed system in

this paper is more economical than a hybrid BESS-UPS system or an BESS.


In addition, the proposed system performs load-shifting according to
time-based rates, and has a longer power outage time in case of emergency
without needing to communicate with the existing UPS.

- iv -
List of tables

Table 1. Functional features of Energy Storage System ···························· 6


Table 2. Grid disturbances and UPS Classes ··············································· 8
Table 3. The specification of AC grid ··························································· 30

Table 4. On-line UPS to be installed of the scenario for the simulation


·················································································································· 40
Table 5. Case1 of the scenario for the simulation ······································ 44
Table 6. Case2 of the scenario for the simulation ······································ 48

Table 7. Case3 of the scenario for the simulation ······································ 52


Table 8. Case4 of the scenario for the simulation ······································ 56
Table 9. Case5 of the scenario for the simulation ······································ 60
Table 10. Case6 of the scenario for the simulation ···································· 64

- v -
List of figures

Figure 1. Block diagram of a conventional BESS ······································· 7


Figure 2. Block diagram of a typical Off-line UPS ·································· 9
Figure 3. Block diagram of a typical Line-interactive UPS ··················· 10

Figure 4. Block diagram of a typical On-line UPS ·································· 13


Figure 5. Operation flowchart of the typical On-line UPS ····················· 13

Figure 6. Power flow of the hybrid BESS-UPS system in [19] ·········· 14


Figure 7. Power flow of the hybrid BESS-UPS system in [20] ·········· 15

Figure 8. Power flow of the hybrid BESS-UPS system in [21] ·········· 16


Figure 9. Power flow of the hybrid BESS-UPS system in [22] ·········· 17

Figure 10. Power flow of the hybrid BESS-UPS system in [23] ········ 18
Figure 11. Block diagram of the typical On-line UPS with proposed

Customer Load Management System ···································· 20


Figure 12. Control algorithm of the proposed Customer Load Managem

ent System ······················································································· 22


Figure 13. Powerflow diagram of the proposed Customer Load Manage
ment System at peak-load time ················································· 23

Figure 14. Powerflow diagram of the proposed Customer Load Manage


ment System at light-load time ················································· 24
Figure 15. Powerflow diagram of the proposed Customer Load Manage
ment System at other time ························································· 25

Figure 16. Powerflow diagram of the proposed Customer Load Manage


ment System in an emergency ·················································· 26
Figure 17. Circuit Diagram of the LM converter ······································ 27

- vi -
Figure 18. Control block diagram of LM converter ·································· 27
Figure 19. The system configuration for simulation ································· 30
Figure 20. Customer Load Management System circuit diagram in

PSCAD/EMTDC ············································································· 32
Figure 21. LM converter control diagram in PSCAD/EMTDC ·············· 33

Figure 22. The scenario shown in the control algorithm(case1) ··········· 34


Figure 23. The scenario shown in the control algorithm(case2) ··········· 35

Figure 24. The scenario shown in the control algorithm(case3) ··········· 36


Figure 25. The scenario shown in the control algorithm(case4) ··········· 37
Figure 26. The scenario shown in the control algorithm(case5) ··········· 38
Figure 27. The scenario shown in the control algorithm(case6) ··········· 39

Figure 28. Simulation results according to scenario (On-line UPS) ····· 43

Figure 29. Simulation results according to scenario (case1) ·················· 47


Figure 30. Simulation results according to scenario (case2) ·················· 51

Figure 31. Simulation results according to scenario (case3) ·················· 55

Figure 32. Simulation results according to scenario (case4) ·················· 59


Figure 33. Simulation results according to scenario (case5) ·················· 63

Figure 34. Simulation results according to scenario (case6) ·················· 67

- vii -
Ⅰ. 서 론

1.1 연구 배경

오늘날, 무정전전원장치(UPS: Uninterruptible Power Supply)는 전 세

계적으로 사용되어 정전 상황에서 통신 시스템, 컴퓨터, 병원 장비와 같은


다양한 비상부하에 안정적으로 전기를 공급하고 있다. 지난 수 년 간의

UPS에 대한 연구·개발로 다양한 산업용 UPS가 출시되었으며, 더 나아가


새로운 전력전자 토폴로지, 고성능 디지털 프로세서 및 반도체 스위칭 소

자의 발전으로 새로운 UPS가 계속 개발 중에 있다.[1][2]


UPS는 기본적으로 전력변환장치(PCS, Power Conditioning System)와

배터리로 구성되어 있다. IEC(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의 표준 IEC 62040-3에 따르면 UPS는 입력전압과 출력전압간의 종속성


에 따라 크게 on-line, off-line, line-interactive 방식으로 구분된다.

on-line 방식은 평상 시 PCS를 통하여 부하에 전력을 공급한다. 정전상황

등의 계통 고장과 같은 비상시 절체시간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높은 품

질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하지만 두 단계 이상의 전력변환에 따른 전


력 손실이 다른 방식에 비해 크다는 단점이 있다. off-line 방식은 평상시
계통에서 직접 비상부하에 전력을 공급한다. 비상시 비상부하와 계통 사

이의 스위치가 열리고 배터리의 에너지를 부하에 공급하는 방식이다.

on-line 방식보다 효율이 높다는 장점이 있지만, 부하가 계통 전압의 영향


을 그대로 받고, 비상시 절체에 따른 전력품질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line-interactive 방식은 평상시 자동전압조정기(AVR, Automatic Voltage

Regulator)를 통하여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방식이다. 계통의 전압 변동


에 대응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비상시 off-line 방식과 마찬가지로

- 1 -
절체에 따른 전력 품질 문제가 있다.[3][4]
UPS의 시장 규모와 전망을 살펴보면 국외시장 규모는 2011년 76억 2
천만 US달러로 평가되었으며, 연평균 성장률이 약 6.6%로 2019년에는 약
120억 US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시장의 규모는 2012년 기준

84.8백만 US달러 정도이며, 2018년에는 약 1.16억 US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5]
또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Energy Storage System)은 발전소에서

과잉 생산된 전력을 저장했다가 필요한 시기에 전력을 공급하여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시스템으로 90% 이상이 PCS와 리튬이온 배터리로 구성된
다. ESS는 전력계통에 직접 연결되어 전력부하 평준화, 전력계통 안정화,

전력예비력 확보, 신재생에너지 출력보정 등 다양한 기능의 수행이 가능

하다. ESS의 시장 규모는 2016년 28.8억 US달러에서 2025년 347억 US달

러로 연평균 32%의 대폭적인 성장이 전망된다. 미국, 일본, 독일, 중국,


프랑스, 인도, 대한민국 등 주요 국가들이 BESS를 미래 신 성장 에너지

산업으로 적극적으로 육성하고자 보조금 지급, 세금 감면, 설치 의무화,

기술개발 지원 등 다양한 정책적인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다.[6][7][8]


종래의 UPS와 BESS의 가장 큰 차이점을 살펴보면, UPS가 비상시에만 동

작하는 반면 BESS는 평상시 동작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따라서 각각의 장·단


점을 보완하여 활용하고자 최근에는 UPS와 BESS의 기능을 통합하여 평상시
에는 전력사용 피크 시간대에 첨두부하 삭감 및 부하 평준화와 같은 부하 관리
를 수행하고 비상시에는 비상부하에 비상전원을 공급하는 하이브리드

BESS-UPS 시스템에 대한 연구·개발이 진행 중이다.[9][10][11][12][13]


이러한 연구 방향에 따라 앞으로 소규모 수용가나 일반 가정에서도

BESS를 활용할 수 있도록 에너지 정책의 변화가 예상된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기존 UPS를 활용한 수용가 부하 관리 시스템 구축을 목적으

- 2 -
로, 기존 UPS의 DC-link에 연결하는 수용가 부하 관리 기능을 갖는 컨버
터의 제어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간단하게 기존 UPS에 컨버터와 배터리
를 추가함으로써 경제성 있는 하이브리드 BESS-UPS 시스템 구축이 가

능하다. 수용가 부하 관리 기능을 갖는 컨버터는 기존 UPS와 별 다른 통


신 없이 독립적으로 운전하며, 평상시 시간대별 요금제에 따른 부하 평준

화 역할을 수행하고, 정전 시 기존 UPS보다 더 긴 시간동안 정전보상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 3 -
1.2 연구 목적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기존 UPS에 수용가 부하 관리 기능을 갖는 컨버터를

추가하는 경우, 부하 관리 기능을 갖는 컨버터는 기존 UPS의 보호시스템 및


동작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야 된다. 수용가 부하 관리 기능을 갖는 컨버터의

제어 알고리즘은 평상시, 시간대별 요금제에 따른 충·방전 기능으로 부하 평준


화와 추가 배터리 충전을 수행하고, 정전 시 비상전원 공급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되었다. 결과적으로, 본 논문에서는 기존 UPS의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으


며, 제어 모드 전환에 따른 과도현상 없이, 수용가 부하 관리 기능을 갖는
DC/DC 컨버터의 제어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PSCAD/EMTDC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모의 및 검증할 것이다.

- 4 -
1.3 논문 구성

본 논문에서는 기존 온-라인 UPS에 추가 구축하는 수용가 부하 관리

기능을 갖는 DC/DC 컨버터를 설계한다.


제 1장에서는 본 논문의 연구 배경과 연구 목적을 다루었으며, 제 2장

에서는 종래의 BESS, UPS 및 하이브리드 BESS-UPS 시스템의 구성을


확인하고 동작원리를 이해한다. 제 3장에서는 제안하는 수용가 부하 관리

기능을 갖는 UPS 설계를 위한 양방향 DC/DC 컨버터의 제어기와 제어


알고리즘을 설계한다. 제4장에서는 PSCAD/EMTDC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모의를 통해 제안하는 제어 알고리즘과 모드 전환에 따른 동
작을 검증한다. 마지막으로 제 5장에서는 본 논문에 대한 결론을 내린다.

- 5 -
Ⅱ. BESS, UPS 및 하이브리드 BESS-UPS 시스템

2.1 BESS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Energy Storage System)은 발전소에서 과잉

생산된 전력을 전력계통에 저장했다가 전력이 가장 필요한 시기 또는 일


시적으로 전력이 부족할 때에 전력을 공급하여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시
스템이다. ESS는 표 1과 같이 전력균형을 위한 주파수조정, 신재생에너지
원의 간헐적인 출력을 보정하기 위한 신재생연계 용도, 전력거래에 따른

수요반응 기능을 수행한다.

Table 1. Functional features of Energy Storage System

활용 구분 주요 내용

실시간으로 변하는 주파수에 즉각적인 충·방전으로 전


주파수조정
력균형 유지

신재생연계 풍력, 태양광 등의 신재생 발전원의 출력보정

저렴할 때 충전하여 비쌀 때 방전하여 전기요금절감하


수요반응
고, 수요관리시장의 감축지시에 반응하여 보상금 수령

- 6 -
기존 BESS의 경우 그림 1과 같이 배터리와 전력변환장치(PCS: Power
Conditioning System)로 구성되어 있다. 평상 시 배터리를 충전·방전하며
전력 거래 및 부하 평준화를 수행하고, 계통에 고장이 발생하는 비상 시

계통에서 분리된다. 계통 고장 또는 정전 시, 계통과 분리됨으로써 부하에


안정적인 전력을 공급할 수 없다.

Figure 1. Block diagram of a conventional BESS

- 7 -
2.2 UPS

본 섹션에서는 종래의 UPS의 구조를 소개하고 각각의 구성과 동작원

리를 소개한다. 국제 전기 표준회의(IEC,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Standard) IEC 62040-3에 따르면 UPS는 입력전압과 출력전

압의 종속성에 의해서 크게 오프-라인(Off-line), 라인-인터랙티브(Line


-interactive), 온-라인(On-line) 방식으로 구분된다. 표 2은 계통 외란의

10가지 종류와 그에 따른 UPS의 분류를 나타낸다.[14]

Table 2. Grid disturbances and UPS Classes

Voltage Phenomenon Time IEC 62040-3 UPS-Solution

1. Outage - blackouts > 10 ms Voltage +

2. Sags / brownouts < 16 ms Frequency Off-line

3. dynamic overvoltage < 16 ms Dependent

4. undervoltage continuous Voltage


Line-Interactive
5. overvoltage continuous Independent

6. Lightning sporadic

7. transients(Surge) < 4 ms Voltage +

8. frequency variations sporadic Frequency On-line

9. voltage distortion periodically Independent

10. voltage harmonics continuous

- 8 -
2.2.1 오프-라인(Off-line) UPS

오프-라인 방식에서는 평상시 계통이 부하와 UPS 시스템 내의 배터리

에 전력을 공급한다. 계통 이상 검출 시, 계통과 부하를 연결하는 스위치


가 차단된 후, 배터리의 에너지를 부하로 공급한다. 계통이 안정적인 상황

에서는 계통에서 직접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기 때문에 AC/DC 컨버터를


통해 부하를 공급하는 온-라인 방식에 비해 효율이 높다는 장점이 있지

만, 정전 시 부하와 계통을 연결하는 스위치의 차단 시간이 요구되기 때


문에 수 ms 동안 부하로 공급되는 전력 품질 문제가 있다.[15]

Figure 2. Block diagram of a typical Off-line UPS

- 9 -
2.2.2 라인-인터랙티브(Line-interactive) UPS

라인-인터랙티브 방식은 평상시 계통이 비상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고

5%∼10% 전압 변동이 발생하는 경우에 자동전압조정기(AVR, Automatic


Voltage Regulator)가 자동으로 전압을 조정하여 비상부하에 공급한다. 전

압 변동이 5∼10% 이상이거나 정전 등의 비상시에는 UPS 입력단 스위치


가 오픈되고, DC/AC 인버터가 동작함으로써 배터리에서 비상부하로 전
원을 공급한다.[16]

Figure 3. Block diagram of a typical Line-interactive UPS

- 10 -
2.2.3 온-라인(On-line) UPS

온-라인 UPS는 계통의 전원을 직접 부하로 공급하지 않고 항상 정류

기와 DC/AC 인버터를 통해 부하에 공급한다. 온-라인 UPS 방식은 계통


의 이상의 유무와 상관없이 항상 인버터를 거쳐 전력을 공급하기 때문에

항상 동작하고 있으며 그로인해 계통전압의 Sag나 Swell에도 영향을 받


지 않고 항상 양질의 전력을 공급한다.[17][18] 또한, 계통 고장이나 정전이

발생하더라도 별다른 절체시간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높은 전력 품질을


제공한다.
아래의 그림 4의 (a), (b), (c)는 각각 다른 구성을 갖는 온-라인 방식의

UPS를 나타낸다. 그림 4(a)는 배터리가 DC-link에 직접 연결 된 구성을

나타낸다. 평상 시 AC/DC 정류기는 DC-link 전압을 제어하며 배터리 충

전과 동시에 부하로 전력을 공급한다. 비상 시 DC-link 전압이 배터리 전


압으로 결정되어 배터리가 비상전원 공급을 수행한다.[19][20] 그림 4(b)는

배터리가 별도의 충전기로 충전되고 다이오드나 반도체 스위치로

DC-link와 연결되어 있다. AC/DC 정류기는 DC-link 전압을 배터리의 충


전종지전압보다 높은 전압으로 유지시키고, 비상 시 DC-link 전압이 배터

리 전압으로 내려감에 따라 배터리가 비상전원 공급을 수행한다.[21] 그림


4(c)는 DC-link와 배터리 사이에 Buck 컨버터가 연결되어 있는 형태이다.
평상시 Buck 컨버터를 통해 배터리를 충전시키고, 비상 시 DC-link 전압
이 배터리 전압으로 내려감에 따라 배터리가 비상전원 공급을 수행한

다.[22][23][24][25]

- 11 -
(a) Topology of automatic charging the battery

(b) Topology of external charging the battery

- 12 -
(c) Topology of charging the battery with DC/DC buck converter
Figure 4. Block diagram of a typical On-line UPS

그림 5는 기존 UPS의 동작 알고리즘을 나타낸다. UPS는 평상시 배터

리 충전 상태를 체크하며 계통에서 부하로 전력을 공급한다. 운전 중, 계

통에 고장이 감지되면 AC/DC 정류기가 운전을 정지하고, UPS의 배터


리가 방전함으로써 비상전원 공급이 수행된다.

Figure 5. Operation flowchart of the typical On-line UPS

- 13 -
2.3 하이브리드 BESS-UPS 시스템

하이브리드 BESS-UPS 시스템은 UPS의 정전 보상 기능과 BESS를 통

합한 시스템이다. 본 세션에서는 여러 종류의 하이브리드 BESS-UPS 시


스템의 구성과 동작을 확인한다.

그림 6은 [9]의 하이브리드 BESS-UPS 시스템의 동작에 따른 전력 흐

름을 보여준다. 본 시스템은 전력거래를 위한 양방향 AC/DC 컨버터, 정


전압·정주파수 운전을 위한 DC/AC 인버터, 배터리 충·방전을 위한 양방
향 DC/DC 컨버터로 구성되어 있다. 평상시 경부하 시간대에 배터리에 전
력을 저장하고, 최대부하 시간대에 계통이나 부하로 방전함으로써 수요관

리 기능을 수행한다. 만약, 계통 고장이 감지되면, 남은 배터리 용량만큼

부하에 양질의 전력을 공급한다.

(a) (b)

Figure 6. Power flow of the hybrid BESS-UPS system in [19]


(a) normal mode (b) emergency mode

- 14 -
그림 7은 [10]의 하이브리드 BESS-UPS 시스템의 전력 흐름도를 보여
준다. 이 토폴로지의 특징은 계통측 PCS가 AC/DC 정류기와 DC/DC 컨
버터 기능이 모두 한다는 것이다. 평상시에 AC/DC 정류기는 DC-link 전

압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ESS 기능을 수행하는 시간이나 비상시에는


DC/DC 컨버터로 바꾸어, 부하 관리 기능 또는 정전 보상 기능을 수행한

다.

(a) (b)

(c)

Figure 7. Power flow of the hybrid BESS-UPS system in [20]

(a) normal mode (b) ESS mode (c) emergency mode

- 15 -
그림 8은 [11]의 하이브리드 BESS-UPS 시스템의 전력 흐름도를 보여
준다. 이 토폴로지는 평상시에 AC/DC 정류기는 DC-link 전압을 일정하
게 유지한다. BESS용 컨버터가 평상시에 전력을 계통이나 부하로 출력을

하며, 태양광발전시스템은 항상 최대출력을 낸다. 비상시에는 BESS용 컨


버터가 DC-link 전압제어를 수행하고, 태양광발전시스템은 MPPT 운전을

지속한다. 태양광발전시스템과 BESS가 결합된 형태로, 단독 태양광발전


시스템 대비 높은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 가중치를 갖는다.

(a) (b)

Figure 8. Power flow of the hybrid BESS-UPS system in [21]


(a) normal mode (b) emergency mode

- 16 -
그림 9는 [12]의 하이브리드 BESS-UPS 시스템으로 배터리, AC/DC
컨버터, DC/AC 인버터로 구성되어 있다. 계통과 연결된 AC/DC 컨버터
는 평상시 배터리 충전, 전력거래 기능을 수행하고, 비상시 운전을 정지한

다. DC/AC 인버터는 정전과 관계없이 비상부하에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


급한다.

(a) (b)

Figure 9. Power flow of the hybrid BESS-UPS system in [22]

(a) normal mode (b) emergency mode

- 17 -
그림 10은 [13]의 하이브리드 BESS-UPS 시스템으로 배터리, 전력변환
장치(PCS: Power Conditioning System) 및 절체스위치로 구성되어 있다.
절체 스위치 종류는 자동 절환 스위치(ATS: Automatic Transfer

Switch), 폐쇄형 절환 스위치(CTTS: Closed Transition Transfer


Switch), 전원 절환 스위치(STS: Source Transfer Switch), 계통 연계형

절환 스위치(SGS: Static Grid-connected Switch) 등이 있다. 절체 스위


치의 종류와 구성에 따라 절환 시간과 순단 현상 유·무가 결정된다.

제어모드는 다음과 같다. 평상 시 배터리를 충전·방전하며 전력 거래


및 부하 평준화를 수행한다. 비상 시 BESS의 절체 스위치가 BESS를 계
통과 분리시키고, BESS가 비상부하에 전력을 공급한다.

(a) (b)
Figure 10. Power flow of the hybrid BESS-UPS system in [23]
(a) normal mode (b) emergency mode

- 18 -
Ⅲ. 제안하는 수용가 부하 관리 기능을 갖는 UPS

기존의 온-라인 UPS는 평상시 AC/DC 정류기가 DC-link 전압제어를


수행하고, DC/AC 인버터가 출력 전압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부하에 전력
을 공급한다. 비상시 DC-link의 전압은 기존 UPS의 배터리 전압으로 결

정되며, 배터리가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온-라인 UPS에 수용가 부하 관리 기능을 갖는 양
방향 DC/DC 부스트 컨버터와 배터리를 추가하여 평상시에 부하 평준화
와 같은 부하 관리 기능을 수행하고 정전 시에는 더 긴 정전보상 시간을

갖도록 한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하는 수용가 부하 관리(Customer Load


Management) 기능을 수행하는 컨버터는 LM 컨버터, 추가 배터리는
LM 배터리, LM 컨버터와 LM 배터리로 구성된 전체 시스템은 수용가

부하 관리 시스템으로 정의한다.

- 19 -
3.1 수용가 부하 관리 기능을 갖는 LM 컨버터 구조

기존 온-라인 UPS와 제안하는 LM 컨버터 추가한 전체 구성은 그림

11과 같다. 기존 온-라인 UPS의 DC-link에 양방향 DC/DC LM 컨버터와


LM 배터리로 구성된 수용가 부하 관리 시스템이 연결된 형태이다.

기존 온-라인 UPS의 AC/DC 정류기는 DC-link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


하면서, 추가적으로 UPS의 구성에 따라서 기존 배터리 충전까지 수행한

다. DC/AC 인버터는 일정한 크기와 주파수를 갖는 교류전압을 공급하는


정전압 정주파수 제어를 수행하여 비상부하에 전력을 공급한다. 기존
UPS의 배터리는 비상시를 위하여 완충상태를 유지하며, 비상시 DC-link
전압을 결정하고 부하로 전력을 공급한다. LM 컨버터는 기존 온-라인

UPS와 별도의 통신 없이 평상시 시간대별 요금제에 따라 부하 관리 기

능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며, 정전 시 DC-link의 전압을 일정하게 제어함


으로써 더 긴 정전보상 시간을 갖도록 한다.

Figure 11. Block diagram of the typical On-line UPS with


proposed Customer Load Management System

- 20 -
3.2 수용가 부하 관리 기능을 갖는 컨버터 동작 알고리즘

제안하는 수용가 부하 관리 시스템은 그림 4(a), (b), (c)의 구성을 갖는

온-라인 UPS에 대한 적용을 가정하였다. 그림 12은 수용가 부하 관리 시


스템의 동작 알고리즘 플로우차트를 나타낸다.

평상시 시간대별 요금제와 LM 배터리의 SOC(State of Charge)에 따라


서 부하 추종 제어(모드1), LM 배터리충전 제어(모드2) 및 대기모드(모드

4)로 동작한다.
부하 추종 제어(모드1)은 최대부하 시간대, 부하의 유효전력을 추종 제
어함으로써 부하 평준화(부하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LM 배터리충전 제어(모드2)는 경부하 시간대, AC/DC 입력 유효 전력

이 정격전력으로 추종하도록 제어함으로써 LM 배터리를 충전한다.

DC-link 전압일정제어(모드3)은 LM 컨버터는 DC-link 전압이 기존


UPS 배터리의 충전종지전압까지 내려가는 경우 정전으로 판단하고 UPS

배터리의 충전종지전압보다 높은 전압으로 전압일정제어를 수행한다. 만

약, 정전 중에 DC-link 전압이 평상시 DC-link 전압으로 올라가면 계통


이 복구되었다고 판단하고 시간대별 요금제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 정

전 시, LM 배터리의 SOC가 방전종지전압보다 높으면 DC-link 전압일정

제어(모드3)를 수행함으로써 LM 배터리가 부하를 모두 공급한다. LM 배


터리의 SOC가 방전종지전압보다 낮아지면, LM 컨버터는 대기모드(모드
4)로 동작하고 기존 UPS의 배터리가 부하를 모두 공급한다.

대기모드(모드4)는 기타 시간대(최대부하, 경부하를 제외한 시간대) 또

는 LM 배터리의 SOC에 따라서, LM 컨버터가 동작 대기하는 모드이다.

- 21 -
Figure 12. Control algorithm of the proposed Customer Load

Management System

 LM 배터리 충전 상태
min LM 배터리 방전 종지 전압

max LM 배터리 충전 종지 전압

모드 1 : 부하 추종 제어 모드
모드 2 : LM 배터리충전 제어 모드

모드 3 : DC-link 전압일정제어 모드
모드 4 : LM 컨버터 대기모드

- 22 -
3.2.1 최대부하 시간대

그림 13(a), (b)는 LM 컨버터가 최대부하 시간대에 부하 추종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의 전력흐름을 나타낸다. 그림 13(a)는 LM 컨버터가 부하


의 대부분을 공급하고, AC/DC 정류기가 UPS 배터리 충전 전력과 부하

에 전력변환 손실분만큼의 전력을 계통에서 공급하는 경우이다. 그림


13(b)는 LM 컨버터가 부하의 대부분을 공급하고, AC/DC 정류기가 계통

에서 부하에 손실분만큼의 전력을 공급하는 경우이다.

(a)

(b)
Figure 13. Powerflow diagram of the proposed Customer Load
Management System at peak-load time

- 23 -
3.2.2 경부하 시간대

그림 14(a), (b)는 LM 컨버터가 경부하 시간대에 LM 배터리 충전 제

어를 수행하는 경우의 전력흐름을 나타낸다. 그림 14(a)는 LM 배터리 충


전 전력과 부하를 계통에서 모두 공급하는 경우이다. 그림 14(b)는 LM

배터리 충전 전력, 부하 및 UPS 충전 전력을 계통에서 모두 공급하는 경


우이다.

(a)

(b)
Figure 14. Powerflow diagram of the proposed Customer Load
Management System at light-load time

- 24 -
3.2.3 기타 시간대

그림 15(a), (b)는 LM 컨버터가 최대부하 및 경부하 시간대가 아닌, 기

타 시간대에 대기 모드로 동작되는 경우의 전력흐름을 나타낸다. 그림


15(a)는 UPS의 배터리 충전 전력과 부하를 계통에서 모두 공급하는 경

우, 그림 15(b)는 계통에서 부하만을 공급하는 경우이다.

(a)

(b)
Figure 15. Powerflow diagram of the proposed Customer Load
Management System at other time

- 25 -
3.2.4 정전 시

그림 16(a)는 LM 컨버터가 정전을 감지하고, DC-link 전압일정제어를

수행함으로써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그림 16(b)는 정

전 시, LM 배터리의 가 min 보다 낮아지는 경우로, LM 컨버터가

동작 대기모드 상태인 경우를 나타낸다. 이때, 기존 UPS의 배터리가 부하


에 전력을 공급한다.

(a)

(b)
Figure 16. Powerflow diagram of the proposed Customer Load
Management System in an emergency

- 26 -
3.3 양방향 DC/DC 컨버터

그림 17은 수용가 부하 관리 기능을 갖는 양방향 DC/DC 부스트 컨버터

의 회로도이다. 양방향 전력 조류를 위한 두 개의 IGBT와 다이오드와 전


류, 전압 제어를 위한 인덕터와 출력 커패시터로 구성된다.

Figure 17. Circuit Diagram of the LM converter

Figure 18. Control block diagram of LM converter

  _  LM 컨버터 출력 전압 지령치

   LM 컨버터 출력 전압

  LM 배터리 출력 전류

  _  LM 컨버터 출력 전력

- 27 -
  _   UPS 정류기 정격 전력

 _  UPS 정류기 입력 전력

  _ UPS 인버터 출력 전력

그림 18는 LM 컨버터의 제어 블록선도를 나타내며, 제어기의 모드는


총 네 가지로 다음과 같다. 부하 추종 제어(모드1), LM 배터리 충전 제
어(모드2), DC-link 전압일정제어(모드3), 동작 대기모드(모드4)이다. 대
기모드는 모든 IGBT 스위치가 Open되는 경우이며, 나머지 제어 모드

는 그림 12의 제어 알고리즘에 따라서 모드가 선택된다. 모드1 ∼ 모드


3에 대한 상세 설명은 다음과 같다.

부하 추종 제어(모드1): 최대부하 시간대 부하 전력을 공급하기 위

한 전류제어 모드로, UPS의 출력량인 부하를 LM 배터리가 대부분 공


급한다.

부하 =  입력 +  배터리 방전량 (1)

LM 배터리 충전 제어(모드2): 경부하 시간대 LM 배터리 충전을 위


한 전류 제어 모드로, UPS의 입력 유효전력이 UPS의 정격전력이 되도
록 제어된다.

 정류기 정격 =  입력 = 부하 +  배터리 충전량 +  배터리 충전량 (2)

DC-link 전압일정제어(모드3): 정전 시 DC-link 전압을 기존 UPS


배터리의 충전종지전압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전압일정제어 모드로, LM

배터리가 부하에 전원을 모두 공급한다.


부하 =  배터리 방전량 (3)

- 28 -
Ⅵ . 시뮬레이션을 통한 검증 및 고찰

본 장에서는 3장에서 제안한 수용가 부하 관리 기능을 갖는 UPS 시스


템과 배전계통을 PSCAD/EMTDC 소프트웨어로 모델링하고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모델 계통에 적용 및 모의함으로써 제안하는 수용가 부하 관리

시스템의 평상시, 비상시 동작을 검증한다.

4.1 전체 시스템 구성

전체 시스템은 온-라인 UPS에 수용가 부하 관리 시스템을 추가 구축


하여 그림 19과 같이 모델 계통을 구성하였다. 모델 계통은 온-라인

UPS가 단상 220V 선로에 연결되는 경우를 고려하였다. 기존 온-라인


UPS의 용량 3kVA, LM 컨버터의 용량 3kW, 부하는 정임피던스 부하

(역률 0.866) 가정하였다. 모델 계통의 사양은 표 3와 같다.

Figure 19. The system configuration for simulation

- 29 -
Table 3. The specification of AC grid

Index Value Remark


154 kV Grid Source
Positive Sequence %Z 0.08+j0.99 100MVA
Zero Sequence %Z 0.34+j1.69 Based
3-Winding Transformer(154kV-22.9kV-6.6kV)
Rated Power 45/60MVA
Positive Sequence    j16.16
45MVA
Positive Sequence    j6.69
Based
Positive Sequence    j25.38
Connection Type     ∆
Pole Transformer (22.9kV-380V)
Rated Power 1MVA
1MVA
Positive Sequence %X j0.03
Based

Transformer Connection   

- 30 -
4.2 PSCAD/EMTDC를 이용한 시스템 및 제어기 구성

그림 20은 구현된 전체 시스템 회로를 PSCAD/EMTDC 소프트웨어로

나타낸 것이다. 그림 21은 제안한 수용가 부하 관리 기능을 갖는 LM 컨


버터의 제어기를 PSCAD/EMTDC로 나타낸 것이다. 제어기 구조는 3.3절

의 그림 15와 동일하다. DC-link 전압일정제어모드에서 전압 지령치는 대


상 UPS의 배터리 충전종지전압 110[V]보다 높은 115[V]이다. LM 배터리

충전 모드의 경우 UPS의 정류기 입력단의 유효전력이 정류기의 정격인


3kW를 추종하도록 설정하였다. 부하 추종 모드의 경우 UPS의 인버터 출
력단의 유효전력을 LM 컨버터가 추종 제어한다. 모드는 그림 12의 제어
알고리즘에 의하여 선택된다.

Figure 20. Customer Load Management System circuit diagram in


PSCAD/EMTDC

- 31 -
Figure 21. LM converter control diagram in PSCAD/EMTDC

- 32 -
4.3 시뮬레이션 조건 및 시나리오

본 절에서는 그림 20의 모델 계통에서 제안한 LM 컨버터의 네 가지

운전모드에서 모드절체에 따른 동작을 검증을 위한 시뮬레이션 시나리오


를 LM 컨버터 제어 알고리즘의 제어 흐름으로 설명한다. LM 컨버터의

제어모드 전환에 따른 제어동작 검증을 위한 시나리오는 6가지로 구성되


며, 각 시나리오 case1∼6의 간략 모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case1: 시간대별 요금제에 따른 동작을 모의


case2: 최대부하 시간대, 고장 발생·복구를 모의

case3: 경부하 시간대 고장 발생·복구를 모의

case4: 최대부하 시간대, 비상부하의 변동을 모의

case5: 경부하 시간대, 비상부하의 변동을 모의


case6: 고장에 따른 정전 시, 비상부하의 변동을 모의

계통 고장은 22.9kV 배전선로에서 a상 지락고장이 발생하는 경우로,


CB1, CB2 차단기는 고장이 발생하고 약 10 cycle(0.16초) 후에 Open된다.

고장이 제거된 직후 CB1, CB2가 Close 된다.


추가적으로 4.4절에서, LM 컨버터가 연결되는 대상 온-라인 UPS의 평
상시, 정전 시 동작을 추가로 모의한다.

- 33 -
case1: 그림 22는 평상 시 최대부하 시간대, 경부하 시간대 및 기타 시
간(최대부하, 경부하가 아닌 시간대)에서 모드 전환을 제어 알고리즘에 나
타낸 것이다. 최대부하, 경부하가 아닌 기타 시간대(대기모드) → 경부하

시간대(LM 배터리 충전 제어) → 기타 시간대(대기모드) → 최대부하 시


간대(부하 추종 제어)순으로 모의한다.

Figure 22. The scenario shown in the control algorithm(case1)

- 34 -
case2: 그림 23은 평상 시 최대부하 시간대(부하 추종 제어)에 계통에
정전(DC-link 전압일정제어)이 발생하고, 다시 계통이 복구된 후, 최대부
하 시간대 동작(부하 추종 제어)로 모드 전환을 제어 알고리즘에 나타낸

것이다.

Figure 23. The scenario shown in the control algorithm(case2)

- 35 -
case3: 그림 24는 평상 시 경부하 시간대(LM배터리 충전 제어)에 계통
에 정전(DC-link 전압일정제어)이 발생하고, 다시 계통이 복구된 후, 경부
하 시간대 동작(LM배터리 충전 제어)로 모드 전환을 제어 알고리즘에 나

타낸 것이다.

Figure 24. The scenario shown in the control algorithm(case3)

- 36 -
case4: 그림 25는 평상 시 최대부하 시간대(부하 추종 제어) 동작을 제
어 알고리즘에 나타낸 것이다. 비상부하의 급격한 변동을 모의함으로써,
제어 동작을 검증하고자 한다. 부하는 0.866 역률을 갖는 유도성 정임피던

스 부하이며, 0.0∼5.0초 2.5[kVA], 5.0∼10.0초 1.5[kVA], 10.0∼15.0초


0.8[kVA], 15.0∼20.0초 2.5[kVA]로 변동한다.

Figure 25. The scenario shown in the control algorithm(case4)

- 37 -
case5: 그림 26은 평상 시 경부하 시간대(LM배터리 충전 제어) 동작을
제어 알고리즘에 나타낸 것이다. 비상부하의 급격한 변동을 모의함으로써,
제어 동작을 검증하고자 한다. 부하는 0.866 역률을 갖는 유도성 정임피던

스 부하이며, 0.0∼5.0초 2.5[kVA], 5.0∼10.0초 1.5[kVA], 10.0∼15.0초


0.8[kVA], 15.0∼20.0초 2.5[kVA]로 변동한다.

Figure 26. The scenario shown in the control algorithm(case5)

- 38 -
case6: 그림 27은 정전 시 DC-link 전압일정제어 동작을 제어 알고리
즘에 나타낸 것이다. 비상부하의 급격한 변동을 모의함으로써, 제어 동작
을 검증하고자 한다. 부하는 0.866 역률을 갖는 유도성 정임피던스 부하이

며, 0.0∼5.0초 2.5[kVA], 5.0∼10.0초 1.5[kVA], 10.0∼15.0초 0.8[kVA],


15.0∼20.0초 2.5[kVA]로 변동한다.

Figure 27. The scenario shown in the control algorithm(case6)

- 39 -
4.4 시뮬레이션 결과 분석

a) 대상 온-라인 UPS의 동작

표 4는 수용가 부하 관리 시스템의 구축 대상이 되는 온-라인 UPS의

시뮬레이션 시나리오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 28(a)∼그림 28(f)은 순서대


로 표 4의 시뮬레이션 결과로 전력 흐름, DC-link 전압, UPS 인버터 출
력 RMS 전압, 주파수, 순시전압 및 순시전류의 파형을 나타낸다. 부하는

2.5[kVA]에 0.866 역률을 갖는다. 0.0∼10.0초(평상시 동작), 10.0∼10.16


초(1선 지락 고장), 10.16∼15.0초(정전), 15.0초(계통복구, 평상시 동작) 순

서대로 모의를 진행하였다. 평상시 동작은 계통에서 비상부하로 전력을

공급하는 경우이다. 계통에 1선 지락 고장이 발생하면, DC-link 전압이

UPS 배터리의 충전종지전압인 110[V]로 결정되며, UPS 배터리가 부하를


모두 공급한다. 15.0초에 고장이 제거된 후, CB1, CB2가 Close되고, UPS

의 AC/DC 정류기에 의해 DC-link 전압이 제어됨으로써 다시 평상시 동

작함을 확인하였다.

Table 4. On-line UPS to be installed of the scenario for the simulation

시간[s] 0.0 ∼ 5.0 5.0 ∼ 10.0 10.0 ∼ 10.16 10.16 ∼ 15.0 15.0 ∼ 20.0

① 고장

② CB1 open close


③ CB2 open close

- 40 -
_ : UPS의 AC/DC 정류기 입력 유효전력
_ : UPS의 DC/AC 인버터 출력 유효전력
__ : UPS 배터리 출력 전력

(a) Power flow waveform (On-line UPS)

(b) DC-link Voltage waveform (On-line UPS)

- 41 -
(c) RMS voltage waveform for critical load (On-line UPS)

(d) Frequency waveform for critical load (On-line UPS)

- 42 -
(e) Instantaneous Voltage waveform for critical load at 15s

(On-line UPS)

(f) Instantaneous Current waveform for critical load at 15s

(On-line UPS)
Figure 28. Simulation results according to scenario (On-line UPS)

- 43 -
b) Case1: 대기모드 → 배터리충전 → 대기모드 → 부하 추종

표 5는 Case1 시나리오를 시간 흐름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그림 29(a)


∼그림 29(f)는 순서대로 Case1 시나리오에서의 전력 흐름, DC-link 전압,
UPS 인버터 출력 RMS 전압, 주파수, 순시전압 및 순시전류의 파형을 나

타낸다. 부하는 2.5[kVA]에 0.866 역률을 갖는다. 0.0∼5.0초(기타 시간대),


5.0∼10.0초(경부하 시간대), 10.0∼15.0초(기타 시간대), 15.0∼20.0초(최대

부하 시간대) 순서대로 시간대별 요금제와 제어 알고리즘에 따라


DC-link 전압에 큰 과도현상 없이 모드전환 됨을 확인하였다.

Table 5. Case1 of the scenario for the simulation

시간[s] 0.0 ∼ 5.0 5.0 ∼ 10.0 10.0 ∼ 15.0 15.0 ∼ 20.0

① 고장

② CB1 close

③ CB2 close

④ 컨버터 대기모드 배터리충전 대기모드 부하 추종

_ : UPS의 AC/DC 정류기 입력 유효전력


_ : UPS의 DC/AC 인버터 출력 유효전력
__ : LM 배터리 출력 전력
__ : UPS 배터리 출력 전력

- 44 -
(a) Power flow waveform (case1)

(b) DC-link Voltage waveform (case1)

- 45 -
(c) RMS voltage waveform for critical load (case1)

(d) Frequency waveform for critical load (case1)

- 46 -
(e) Instantaneous Voltage waveform for critical load at 15s (case1)

(f) Instantaneous Current waveform for critical load at 15s (case1)


Figure 29. Simulation results according to scenario (case1)

- 47 -
c) Case2: 대기모드 → 부하 추종 → 전압일정제어(정전) → 부하 추종

표 6은 Case2 시나리오를 시간 흐름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그림 30(a)


∼그림 30(f)은 순서대로 Case2 시나리오에서의 전력 흐름, DC-link 전압,
UPS 인버터 출력 RMS 전압, 주파수, 순시전압 및 순시전류의 파형을 나

타낸다. 부하는 2.5[kVA]에 0.866 역률을 갖는다. 0.0∼5.0초(기타 시간대),


5.0∼10.0초(최대부하 시간대), 10.0∼10.16초(1선 지락 고장), 10.16∼15.0초

(정전), 15.0초(계통복구, 최대부하 시간대) 순서대로 모의를 진행하였다.


계통에 1선 지락 고장이 발생하고, DC-link 전압이 UPS 배터리의 충전종
지전압 110[V]로 내려가는 10.33초에 부하 추종 모드(모드1)에서 DC-link

전압일정제어 모드(모드3)으로 변경되었으며, CB1, CB2가 Close된 후

DC-link 전압이 150[V] 이상으로 올라감에 따라서 다시 부하 추종 모드

(모드1)로 바뀌어 동작함을 확인하였다.

Table 6. Case2 of the scenario for the simulation

시간[s] 0.0 ∼ 5.0 5.0 ∼ 10.0 10.0 ∼ 10.16 10.16 ∼ 15.0 15.0 ∼ 20.0

① 고장

② CB1 open close


③ CB2 open close

④ 컨버터 대기모드 부하 추종 전압일정제어 부하 추종

- 48 -
(a) Power flow waveform (case2)

(b) DC-link Voltage waveform (case2)

- 49 -
(c) RMS voltage waveform for critical load (case2)

(d) Frequency waveform for critical load (case2)

- 50 -
(e) Instantaneous Voltage waveform for critical load at 15s (case2)

(f) Instantaneous Current waveform for critical load at 15s (case2)


Figure 30. Simulation results according to scenario (case2)

- 51 -
d) Case3: 대기모드 → 배터리충전 → 전압일정제어(정전) → 배터리충전

표 7은 Case3 시나리오를 시간 흐름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그림 31(a)


∼그림 31(f)은 순서대로 Case3 시나리오에서의 전력 흐름, DC-link 전압,
UPS 인버터 출력 RMS 전압, 주파수, 순시전압 및 순시전류의 파형을 나

타낸다. 부하는 2.5[kVA]에 0.866 역률을 갖는다. 0.0∼5.0초(기타 시간대),


5.0∼10.0초(경부하 시간대), 10.0∼10.16초(1선 지락 고장), 10.16∼15.0초

(정전), 15.0초(계통복구, 경부하 시간대) 순서대로 모의를 진행하였다. 계


통에 1선 지락 고장이 발생하고, DC-link 전압이 UPS 배터리의 충전종지
전압 110[V]로 내려가는 10.03초에 LM 배터리충전 모드(모드2)에서

DC-link 전압일정제어 모드(모드3)으로 변경되었으며, CB1, CB2가 Close

된 후 DC-link 전압이 150[V] 이상으로 올라감에 따라서 다시 LM 배터

리충전 모드(모드2)로 바뀌어 동작함을 확인하였다.

Table 7. Case3 of the scenario for the simulation

시간[s] 0.0 ∼ 5.0 5.0 ∼ 10.0 10.0 ∼ 10.16 10.16 ∼ 15.0 15.0 ∼ 20.0

① 고장

② CB1 open close


③ CB2 open close

④ 컨버터 대기모드 배터리충전 전압일정제어 배터리충전

- 52 -
(a) Power flow waveform (case3)

(b) DC-link Voltage waveform (case3)

- 53 -
(c) RMS voltage waveform for critical load (case3)

(d) Frequency waveform for critical load (case3)

- 54 -
(e) Instantaneous Voltage waveform for critical load at 15s (case3)

(f) Instantaneous Current waveform for critical load at 15s (case3)


Figure 31. Simulation results according to scenario (case3)

- 55 -
e) Case4: 부하 추종, 2.5[kVA] → 1.5[kVA] → 0.8[kVA] → 2.5[kVA]

표 8은 Case4 시나리오를 시간 흐름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그림 32(a)


∼그림 32(f)는 순서대로 Case4 시나리오에서의 전력 흐름, DC-link 전압,
UPS 인버터 출력 RMS 전압, 주파수, 순시전압 및 순시전류의 파형을 나

타낸다. 0.0초에서 20.0초까지 최대부하 시간대이며, 부하가 급변하는 상황


을 모의하였다. 부하는 0.8∼2.5[kVA]로 0.866의 역률을 갖는 정임피던스

부하로 가정하였으며, 부하는 시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변화한다. 0.0∼5.0

초 2.5[kVA], 5.0∼10.0초 1.5[kVA], 10.0∼15.0초 0.8[kVA], 15.0∼20.0초


2.5[kVA]. 시뮬레이션 결과 부하 변화에 따라서 DC-link에 큰 전압변동

없이, 부하 추종함을 확인하였다.

Table 8. Case4 of the scenario for the simulation

시간[s] 0.0 ∼ 5.0 5.0 ∼ 10.0 10.0 ∼ 15.0 15.0 ∼ 20.0

① 고장

② 부하 2.5[kVA] 1.5[kVA] 0.8[kVA] 2.5[kVA]

③ 컨버터 부하 추종

- 56 -
(a) Power flow waveform (case4)

(b) DC-link Voltage waveform (case4)

- 57 -
(c) RMS voltage waveform for critical load (case4)

(d) Frequency waveform for critical load (case4)

- 58 -
(e) Instantaneous Voltage waveform for critical load at 15s (case4)

(f) Instantaneous Current waveform for critical load at 15s (case4)


Figure 32. Simulation results according to scenario (case4)

- 59 -
f) Case5: 배터리충전, 2.5[kVA] → 1.5[kVA] → 0.8[kVA] → 2.5[kVA]

표 9는 Case5 시나리오를 시간 흐름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그림 33(a)


∼그림 33(f)는 순서대로 Case5 시나리오에서의 전력 흐름, DC-link 전압,
UPS 인버터 출력 RMS 전압, 주파수, 순시전압 및 순시전류의 파형을 나

타낸다. 0.0초에서 20.0초까지 경부하 시간대이며, 부하가 급변하는 상황을


모의하였다. 부하는 0.8∼2.5[kVA]로 0.866의 역률을 갖는 정임피던스 부

하로 가정하였으며, 부하는 시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변화한다. 0.0∼5.0초

2.5[kVA], 5.0∼10.0초 1.5[kVA], 10.0∼15.0초 0.8[kVA], 15.0∼20.0초


2.5[kVA]. 시뮬레이션 결과 부하 변화에 따라서 DC-link 전압에 과도현상

없이, UPS의 정류기 입력 전력을 3[kW]로 추종함으로써 LM 배터리충전

제어가 정상 동작됨을 확인하였다.

Table 9. Case5 of the scenario for the simulation

시간[s] 0.0 ∼ 5.0 5.0 ∼ 10.0 10.0 ∼ 15.0 15.0 ∼ 20.0

① 고장

② 부하 2.5[kVA] 1.5[kVA] 0.8[kVA] 2.5[kVA]

③ 컨버터 배터리충전

- 60 -
(a) Power flow waveform (case5)

(b) DC-link Voltage waveform (case5)

- 61 -
(c) RMS voltage waveform for critical load (case5)

(d) Frequency waveform for critical load (case5)

- 62 -
(e) Instantaneous Voltage waveform for critical load at 15s (case5)

(f) Instantaneous Current waveform for critical load at 15s (case5)


Figure 33. Simulation results according to scenario (case5)

- 63 -
g) Case6: 전압일정제어, 2.5[kVA] → 1.5[kVA] → 0.8[kVA] → 2.5[kVA]

표 10은 Case6 시나리오를 시간 흐름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그림

34(a)∼그림 34(f)는 순서대로 Case6 시나리오에서의 전력 흐름, DC-link


전압, UPS 인버터 출력 RMS 전압, 주파수, 순시전압 및 순시전류의 파

형을 나타낸다. 0.0초에서 20.0초까지 정전상태로 전압일정제어를 수행 중


으로, 부하가 급변하는 상황을 모의하였다. 부하는 0.8∼2.5[kVA]로 0.866

의 역률을 갖는 정임피던스 부하로 가정하였으며, 부하는 시간에 따라 다


음과 같이 변화한다. 0.0∼5.0초 2.5[kVA], 5.0∼10.0초 1.5[kVA], 10.0∼
15.0초 0.8[kVA], 15.0∼20.0초 2.5[kVA]. 시뮬레이션 결과 부하 변화에 따

라서 DC-link 전압에 과도현상 없이, LM 컨버터가 DC-link 전압을

115[V]로 일정 제어함으로써 LM 배터리가 부하에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

급함을 확인하였다.

Table 10. Case6 of the scenario for the simulation

시간[s] 0.0 ∼ 5.0 5.0 ∼ 10.0 10.0 ∼ 15.0 15.0 ∼ 20.0

① 고장

② 부하 2.5[kVA] 1.5[kVA] 0.8[kVA] 2.5[kVA]

③ 컨버터 전압일정제어

- 64 -
(a) Power flow waveform (case6)

(b) DC-link Voltage waveform (case6)

- 65 -
(c) RMS voltage waveform for critical load (case6)

(d) Frequency waveform for critical load (case6)

- 66 -
(e) Instantaneous Voltage waveform for critical load at 15s (case6)

(f) Instantaneous Current waveform for critical load at 15s (case6)


Figure 34. Simulation results according to scenario (case6)

- 67 -
Ⅵ. 결 론

기존 무정전전원장치(UPS)는 정전 시에만 동작함으로써 비상부하에 안


정적인 전력을 공급한다. 에너지저장장치(ESS)는 발전소에서 과잉 생산된
전력을 저장했다가 필요한 시기에 전력을 공급하여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시스템으로 전력계통에 직접 연결되어 전력부하 평준화, 전력계통 안정화,


전력예비력 확보, 신재생에너지 출력보정 등 다양한 기능의 수행한다.

수많은 UPS와 BESS가 전 세계적으로 보급되었으며, 앞으로도 UPS와


BESS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존

UPS의 적은 배터리 사용률과 BESS의 모드 절체에 따른 전력품질 문제를


보완하고자 UPS와 BESS의 기능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BESS-UPS 시스템

에 대한 연구·개발이 진행 중이다. 이러한 연구 방향에 따라 앞으로 소규모


수용가나 일반 가정에서도 BESS를 활용할 수 있도록 에너지 정책의 변화

가 예상된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기존 UPS를 활용한 수용가 부하 관리 시스템


구축을 목적으로, 기존 UPS의 DC-link에 연결하여, 별도의 통신 없이 독립

적으로 운전할 수 있는 수용가 부하 관리 기능을 갖는 컨버터의 제어 알고


리즘을 제안하고, 제안한 알고리즘과 제어기의 제어 검증을 위해 총 6가지
의 시뮬레이션 시나리오를 작성, PSCAD/EMTDC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
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시간대별 요금제에 따른 제어모드 전환, 갑작스런

정전에 따른 DC-link 전압제어 수행, 갑작스런 부하 변동에도 큰 과도현상


없는 전력흐름과 DC-link 전압을 확인하였으며, 모든 제어 모드에서 비상
부하의 큰 변동에도 정상 제어됨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제안하는 부하 관리 시스템은 성장하는 UPS 및 BESS 시장

에서 새로운 솔루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68 -
참고문헌

[1] Gurrero J, De Vicuna LG, Uceda J,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s


Provide Protection," IEEE Ind Electron Mag, no. 1, pp. 28-38, 2007.
[2] Niroomand M, Karshenas H., “Review and comparison of control methods
for uninterruptible power supplies,” IEEE Power Electronic & Drive
Systems & Technologies Conference (PEDSTC), pp. 18-23, 2010.
[3] S. Karve, “Three of a kind [UPS topologies, IEC standard],” IEE Rev.,
vol. 46, no. 2, pp. 27-31, 2000.
[4] M. S. Racine, J. D. Parham, and M.H. Rashid, “An overview of
th
uninterruptible power supplies,” in proceedings of the 37 Annual North
American Power Symposium, pp. 159-164, 2005.
[5] 문성철, 정교범, “무정전 전원장치(UPS) 시장에 대한 분석,” 전력전자학회지,
vol. 19, no. 5, pp.31-35, 2014.
[6] 신기후체제 대응을 위한 주요국가의 ESS 확대장려정책 현황조사 및 국내
도입방안 제안, 한국에너지공단, 2017.
[7] X. Tan, Q. Li, and H. Wanga, “Advances and trends of energy storage
technology in microgrid,” Int. J. Elect. Power Energy Syst., vol. 44,
pp. 179–191, 2013.
[8] C. N. K. Nair and G. Niraj,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s: Assessment
for small-scale renewable energy integration,” Energy Build., vol. 42,
no. 11, pp. 2124–2130, 2010.
[9] Sangjin Kim, Minho Kwon, Sewan Choi, “Operation and Control
Strategy of a New Hybrid BESS-UPS System,” IEEE
Transactions on Power Electronics, vol. 33, no. 6, pp. 4746-4755,
2018.
[10] Seung-Beom Lim, Soon-Chan Hong, "Hybrid UPS with Energy Storage
System Function," The Transactions of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vol. 19, no. 3, pp. 266-275, 2014.
[11] Jin-Hee Yang, Ku-In Jeong, Jung-Min Kwon, “Energy storage system
with PV generation and on-line UPS functions,” 2014 IEEE 36th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s Energy Conference, pp. 1-4, 2014.

- 69 -
[12] Sung-Kuk Jang, Mal-Soo Kim, Yong-Hyo Hwon, Gi-Su Park, Bong-Gyu
Jang, "Power management system of BESS within On-Line UPS
Function,"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pp.
1458-1460, 2016.
[13] 엄주경, “UPS 기능을 갖는 ESS의 경제적 운전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14] W. Solter, “A new international UPS classification by IEC 62040-3,”
24th Annual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s Energy Conference, pp.
541-545, 2002.
[15] S. Martinez, M. Castro, R. Antoranz, and F. Aldana, “Off-lin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with zero transfer time using integrated
magnetics,” IEEE Trans. Ind. Electron., vol. 36, no. 3, pp. 441–445,
Aug. 1989.
[16] M. Abusara, J. M. Guerrero, and S. M. Sharkh, “Line-interactive UPS
for microgrids,” IEEE Trans. Ind. Electron., vol. 61, no. 3, pp. 1292–1300,
Mar. 2014.
[17] H. Pinheiro, P.K. Jain, "Series–parallel resonant converter UPS with
capacitive output DC bus filter for powering HFC networks," IEEE
Transactions on Power Electronics, vol. 17, no. 6, pp. 971-979, 2002.
[18] Rajesh Ghosh, G. Narayanan, "A Simple Analog Controller for
Single-Phase Half-Bridge Rectifier," IEEE Transactions on Industrial
Electronics, vol. 22, no. 1, pp. 186-198, Jan. 2007.
[19] L. J. BOUTIN, "Uninterruptible Power Supplies in the Textile Industry,"
IEEE Transactions of Industry Applications, vol. IA-9, no. 2, pp. 127-132,
1973.
[20] Jin-Ha Choi, Jung-Min Kwon, Jee-Hoon Jung, Bong-Hwan Kwon,
"High-performance online UPS using three-leg-type converter," IEEE
Transactions on Industrial Electronics, vol. 52, no. 3, pp. 889-897, 2005.
[21] C. C. Yeh and M. D. Manjrekar, “A reconfigurabl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for multiple power quality applications,” IEEE Trans.
Power Electron., vol. 22, no. 4, pp. 1361–1372, Jul. 2007.
[22] P.K. Jain, J.R. Espinoza, Hua Jin, "Performance of a single-stage UPS
system for single-phase trapezoidal-shaped AC-voltage supplies,"
IEEE Transactions on Power Electronics, vol. 13, no. 5, pp. 912-923,
1998.

- 70 -
[23] Jae-Kyu Park, Jung-Min Kwon, Eung-Ho Kim, Bong-Hwan Kwon,
"High-Performance Transformerless Online UPS," IEEE Transactions
on Industrial Electronics, vol. 55, no. 8, pp. 2943-2953, 2008.
[24] Nimrod Vazquez, JesÚs Villegas-Saucillo, Claudia Hernandez, Elias
Rodriguez, Jaime Arau, "Two-Stag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With
High Power Factor," IEEE Transactions on Industrial Electronics, vol.
55, no. 8, pp. 2954-2962, 2008.
[25] Dezhi Dong, Linglin Chen, Haijin Li, Min Chen, Dehong Xu, "Design
of hybrid ac-dc-ac topology for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2015
IEEE 2nd International Future Energy Electronics Conference, pp.
1-5, 2015.

- 71 -

Вам также может понравиться